물론 어느 때부터인가 가위를 눌려본 적이 없다. 중학교때가 마지막이 아닌가 싶은데.. 아무튼 어렸을 때 몇번 눌려본 기억이 아직 남아있는데, 지금 생각해도 당시에는 무지하게 무서웠던 걸로 기억된다. 대개 사람들이 말하길 가위가 눌리는 건 몸이 허하기 때문이라고 그러는데, 당시 난 그리 허약하지도 않았고, 매일 학교에서 축구에, 오락에 그야말로 발랄한 청소년이었다. 아직도 그 때 생각하면 등이 오싹하다.. 대개가 그렇듯이 자다가 눈을 떳을 무렵.. 몸은 편안한데 내가 엎어져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자세히 보니 내가 공중에서 자고 있는 날 쳐다보고 있는 것이었다. 살짝 놀래주니 어느덧 다시 원상복귀 .. 그러나 몸이 말을 듣지 않았다. "그래 이건 가위다" .. 순간 방문밖에 누군가가 서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문화관광부에서 개정한 음악 저작권법 개정안이 오는 16일부터 시행된다. 지난 9월 국회를 통과한 개정된 법률안은 저작권을 취득하지 않은 모든 음악 파일에 대해 법률적 책임을 묻고 있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음악 파일을 사용하려면 한국 음악 저작권 협회, 한국 예술 실연자 단체 연합회, 음원 제작자 협회 등 3곳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블로그나 미니홈피 등을 막론하고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모든 커뮤니티에서 자동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음악 파일들에 대해 강력하게 처벌함과 동시에 mp3로 대표되는 불법 음악 파일에 대해서도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묻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스트리밍 사이트들은 유료화를 준비하고 있으며, 각종 p2p 사이트들에서도 상용 자료를 크게 단속할 방침이다. 인터넷 연예 커뮤..
몇년 전에 유주얼서스펙트(?) 이 영화제목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범죄영화였는데 마지막에 절름발이가...걸어가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점점 정상인으로 돌아오는 완전범죄를 보여준 적이 있었다.. 사람들이 마지막 반전에서 무척이나 경악을 했었던... 진짜 재미있게 봤던 영화였다... 그런데 우스개 소리로 극장앞에서 줄서 있으면, 어떤 사람들이 뛰어와서 "절름발이가 범인이에요~" 라고 외치면서 도망을 가서 영화를 보려는 사람들의 기분을 완전히 망쳤었다는 얘기도 있었다.. 오늘 친구가 메신져로 한마디 한다.. "하울의 움직이는 성 이 하울의 性이 움직인다는거야.." " 남자가 되었다가 여자가 되었다가~ " ㅡ.ㅡ; 씁.. 무슨 소린가.. 그럼 그 성이 그 성이 아닌가?
컨설팅회사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의 컨설턴트인 존 팀펄리는 “내 꿈을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루는 길은 내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과 연결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라면서 “이제는 무엇을 아느냐(Know What)가 아니라 누구를 아느냐(Know Who)가 더욱 중요한 시대”라고 강조한다. 물론 그냥 알고 있기만 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아무리 많은 사람을 알아도 자기 사람으로 만들지 못하면 그 인맥은 무용지물이다. 어느 날 교통사고가 나면 한걸음에 달려와 밤새 간병을 할 정도로 속 깊은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에게 모든 것을 주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요즘 가장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 바로 NQ(Network Quotient)다. NQ란 ‘연줄’과 ‘빽’으로 연명하던 구시대적인 인맥개념이..
Real McCoy는 '확실히 진짜인(absolutely bona fide, certifiably genuine)'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그 유래에 대해서는 설이 구구합니다. 이 중 눈여겨 볼만한 것에는 다음이 있습니다. 원래 real McCoy는 세계 웰터급 권투 챔피언인 "Kid" McCoy를 지칭했다고 합니다. 그가 이런 별명을 갖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어느날 그를 챔피언으로 인정하지 않은 한 무례한 남자의 도전을 받고 오랜 입씨름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격분한 McCoy는 오른손으로 그의 턱을 쳤습니다. 이에 도전자는 쓰러지게 되고 바닥에서 일어나면서 "You are the real McCoy, all right."라고 지껄였다고 합니다. 또 다음과 같은 설도 있습니다. 19세기 말쯤 ..
이 표현은 16세기 경에 유럽 사람들이 믿었던 미신과 관련이 있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자기가 원하는 것과 반대되는 행동을 하면 그것이 이루어진다고 믿었습니다. 가령 비가 오지 않기를 바랄 때는 우산을 가지고 가도록 했습니다. 독일인들은 스키 타러 가는 사람에게 스키를 잘 타고 무사히 다녀오라는 말로 "Hals-und-Beinbruch!"라고 외쳤는데, 그 뜻은 "May you break your neck and leg."입니다. 이 표현은 20세기에 들어와서 독일인이나 유럽의 유태인들에 의해 극장에서 단원들에게 연기를 잘하라는 격려의 말로도 쓰이다가, 영어로 도입되는 과정에서 ‘neck‘이란 단어가 빠져나가고 ‘break your leg‘만 남게 되었으며 ‘상대방에게 행운을 빈다‘는 뜻으로 쓰이게 된 것..
- Total
- Today
- Yesterday
- 열정마루
- 휴넷
- 알리익스프레스
- 아이콘
- iconarchive
- 스포츠앤스토리
- 리더십
- 쇼핑
- 자전거
- 도전
- 대학
- 노트북
- iphone
- 애플
- 비전
- 소녀시대
- 맥북
- 공생
- 긍정적 사고
- 영화
- 책
- 소주
- Basses
- sportsnstory
- 사진
- 조카
- 젠장맞을
- 스트레스
- 한강
- 자가교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