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04년 초기에 봤던 글인데..
다시 보게 되어 이리로 가져온다..

현재 다음에서도 RSS넷이라는 걸 만들어서 서비스를 시작했으나,
블로그를 아는 많은 사람들은 이미 익숙한 용어인데, 아직 대다수의
네티즌들에게는 생소한 용어인듯 싶다.

실례로 다음 RSS넷 베타테스트때 많은 사람들이 베타테스터 까페에 들어와서 묻는 질문이...
"RSS가 뭐죠? " 라는 것이었다.

우리나라야 워낙에 빠르게 퍼지는 곳이니 아마 올 2005년 한해는 RSS를 이용한 각종 서비스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지 않을까 하는 ....조심스런 생각이다.

----------------------------------------------------

Korea.Internet.com

저자: 엑스피니티 코리아 | 날짜: 2004년 02월 02일


한때 온라인 마케터들에게 최고의 커뮤니케이션과 마케팅 도구로 인식되며 인터넷의 “킬러 어플리케이션”으로 일컬어졌던 이메일이, 스팸과 이메일 바이러스로 인해 심각한 문제에 봉착했다.

원하지 않는 스팸 메일 삭제에 약 6억 달러의 손실 등, 스팸 메일로 인한 생산성 손실이 전체적으로 현재 200억 달러를 넘어섰다고 뉴욕의 한 컨설팅 회사가 발표했다. 스팸 메일 문제가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고 판단한 미국 정부는 2003년 ‘Can Spam Act’ 이라는 새로운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에 따르면 상업적인 목적으로 대량의 이메일을 발송할때 신분과 이름은 물론 실제 주소와 전화번호까지 명시해야만 한다. 국내에서도 2003년 6월부터 영리 목적의 홍보용 메일을 발송할 경우 몇가지 사항을 명시하도록 하고 있으며, 위반시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새로운 법안은 스팸 메일을 보낼 때 수신자가 수신 거부를 할 수 있는 장치를 필수적으로 마련하도록 하는 등 소비자들을 최대한 보호하려는 정부의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수신 거부의 부담을 여전히 수신자 측에 두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 법안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평가한다. 이제 인터넷 사용자나 온라인 마케터들은 이메일 사용을 포기하거나 다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이메일 뉴스레터의 대안,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