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아주 예전에...위키피디아라는 웹서비스를 봤다. 인터넷에서 누구나가 참여해서 만들어내는 사용자 참여형 백과사전 .. 아마 왠만큼 인터넷을 해 본 사람이라면 이름을 한 번은 들어봤음직 할거다. 이미 외국에서는 브리태니커 사전보다 훨씬 방대한 양을 가지고 정확도도 높으며, 업데이트 속도야 비교할 수도 없는 백과사전으로 발전했다. 그 후로 위키 라는 솔루션에 대해 관심을 가졌고, 홈피에 설치를 해서 써보기도 했다. 느낌은 어렵다....라는 것이었다. 물론 익숙해지면 그 것 또한 쉬워지겠지만 익숙해지기 위해서 외워야 하는 것들이 너무 많았다. 위키 특유의 문법이며, 또 솔루션마다 각각 다 다른 문법들.. 누구나 (물론 인증을 받은 사람들만 하는 것도 가능) 웹상의 문서를 편집하고 만들어낼 수 있으며,..
인터넷을 돌아댕기다가... 우연히 보게된 사진컷 광고.. 물론, 실제로 만든건 아니고, 이미 있는 CF들을 짜깁기한 것이긴 하지만, 그 두 개의 CF를 절묘하게 이어놓아 감탄이 나오게 한다. 인터넷을 뒤져 출처를 찾아보니. "꿈꾸는 주유소의 종이괴물" 님이 만드신 것이라고 한다. 정말.. 요즘 송년회다 뭐다, 술 마실 일 많고, 그렇긴 한데. 이 광고 보고나면.. 왠지 ㅋㅋ 술이 참아질 듯도 하다.. 긴말 하지 말고, 광고 전편 보자 ~!!
문화부 산하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에 내어 놓은 저작물 이용허락 범위 표시라고 한다. 이렇게 진행이 되는게 당연한 건지~! 아니면 온라인이라는 공간을 잘못 이해하고 하는 행동들인지~!! 솔직히 얘기하면 전자가 맞지 싶다.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누군가 새로운 저작물을 만들어냈다면 그것에 대한 권리는 가져야 하지 않겠는가... 그걸 타인들이 어떻게 쓰게 할 것인지는 전적으로 저작권자의 마음이다~ 라고 보는게 내 의견이다. 뭐 저렇게 자신이 만들어낸 저작물에 표시를 한다면 보는 사람들도 저작물에 대한 이용범위를 손쉽게 알 수 있게 되니까 "저작권 침해" 라는 부분도 많이 없어지리라 본다. 물론 아무리 좋은 취지라고 해도 지키지 않는 사람도 있고, 일부러 어기는 사람도 있겠지만, 구더기 무섭다고 장까지 담그지 ..
문화관광부에서 개정한 음악 저작권법 개정안이 오는 16일부터 시행된다. 지난 9월 국회를 통과한 개정된 법률안은 저작권을 취득하지 않은 모든 음악 파일에 대해 법률적 책임을 묻고 있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음악 파일을 사용하려면 한국 음악 저작권 협회, 한국 예술 실연자 단체 연합회, 음원 제작자 협회 등 3곳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블로그나 미니홈피 등을 막론하고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모든 커뮤니티에서 자동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음악 파일들에 대해 강력하게 처벌함과 동시에 mp3로 대표되는 불법 음악 파일에 대해서도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묻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스트리밍 사이트들은 유료화를 준비하고 있으며, 각종 p2p 사이트들에서도 상용 자료를 크게 단속할 방침이다. 인터넷 연예 커뮤..
컨설팅회사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의 컨설턴트인 존 팀펄리는 “내 꿈을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루는 길은 내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과 연결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라면서 “이제는 무엇을 아느냐(Know What)가 아니라 누구를 아느냐(Know Who)가 더욱 중요한 시대”라고 강조한다. 물론 그냥 알고 있기만 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아무리 많은 사람을 알아도 자기 사람으로 만들지 못하면 그 인맥은 무용지물이다. 어느 날 교통사고가 나면 한걸음에 달려와 밤새 간병을 할 정도로 속 깊은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에게 모든 것을 주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요즘 가장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 바로 NQ(Network Quotient)다. NQ란 ‘연줄’과 ‘빽’으로 연명하던 구시대적인 인맥개념이..
2004년 초기에 봤던 글인데.. 다시 보게 되어 이리로 가져온다.. 현재 다음에서도 RSS넷이라는 걸 만들어서 서비스를 시작했으나, 블로그를 아는 많은 사람들은 이미 익숙한 용어인데, 아직 대다수의 네티즌들에게는 생소한 용어인듯 싶다. 실례로 다음 RSS넷 베타테스트때 많은 사람들이 베타테스터 까페에 들어와서 묻는 질문이... "RSS가 뭐죠? " 라는 것이었다. 우리나라야 워낙에 빠르게 퍼지는 곳이니 아마 올 2005년 한해는 RSS를 이용한 각종 서비스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지 않을까 하는 ....조심스런 생각이다. ---------------------------------------------------- Korea.Internet.com 저자: 엑스피니티 코리아 | 날짜: 2004년 02월 0..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진
- 한강
- 도전
- sportsnstory
- 쇼핑
- iphone
- 조카
- 스트레스
- 긍정적 사고
- 책
- 스포츠앤스토리
- 열정마루
- 자가교체
- 젠장맞을
- 소녀시대
- 아이콘
- 비전
- 대학
- 소주
- 자전거
- 알리익스프레스
- 맥북
- 공생
- 노트북
- iconarchive
- Basses
- 애플
- 휴넷
- 영화
- 리더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